본문 바로가기
4대 보험

국민연금 수령액(2024년 최신)

by 노마드-3 2024. 1. 3.
반응형

매달 꼬박꼬박 빠져나가는 국민연금, 2024년 현재까지 얼마를 납부했고, 미래에는 얼마를 받을 수 있을까요?

 

국민연금 예상수령액은 아래 국민연금 홈페이지에서 바로 확인 가능합니다.

 

 

 

 

 

국민연금 수령액

 

 

 

 

 

<목차>

1. 국민연금 수령액 조회


2. 2024년 국민연금 이슈


3. 국민연금 조기수령

 

 

 

 

1. 국민연금 수령액 조회

 

국민연금 수령액 조회 방법

 

 

 

 

국민연금 수령액

 

 

 

 

국민연금 수령액

1

국민연금공단

접속

 

 

 

국민연금 수령액

2

내 연금 알아보기

클릭

 

 

 

국민연금 수령액

3

예상연금액 조회

클릭

 

 

 

국민연금 수령액

4

인증서 로그인

 

 

 

국민연금 수령액

5

예상연금액 보기

클릭

 

 

 

국민연금 수령액

6

예상연금액 확인

 

 

 

국민연금이 소진된다고 하던데, 소진되면 연금을 받을 수 있나요?

 

: 현재의 보험료율(소득의 9%)및 평균수명, 출산율 등을 고려했을 때, 2055년 경 기금이 소진된다는 예상이 나왔지만, 현재 정부에서 국민연금 개혁을 준비 중이며, 기금이 소진되지 않도록 방안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2007년 연금법 개정으로 기금소진 년도가 2047년에서 2060년으로 13년 연장된 사례가 있습니다. 이에 따라정부에서도 연금개혁 대책을 마련 중이며, 앞으로 저출산 문제가 계속되더라도 연금 지급을 보장한다고 발표했습니다.

 

 

 

국민연금 수령액국민연금 수령액국민연금 수령액

 

 

 

 

2. 2024년 국민연금 이슈

 

국민연금 개혁안 방안

국민연금 수령액

2024년에는 국민연금 고갈과 관련하여 정부의 개혁안 추진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물론 국민들의 여론과 전문가들의 의견을 반영해야 하기 때문에 합의점을 찾기 위해 많은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1. 국민연금 요율 인상

: 개혁안의 첫 번째 안은 국민연금 요율을 인상하는 것입니다. 현재 9%인 국민연금 요율을 15% 내외로 인상하는 것을 논의 중입니다. 국민연금 요율이 올라가면 근로자 부담도 현재 4.5%에서 7.5% 내외 수준으로 올라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2. 개시연령 연기 

: 개혁안의 두 번째 안은 국민연금 개시 연령을 늦추는 것입니다. 현재는 가입자의 나이가 만 65세에 도달하면 연금지급을 신청할 수 있지만, 이 개시 연령을 68세 내외로 더 높게 올리자는 방안입니다.

 

만약 연금수령 개시연령이 더 올라간다면, 퇴직 후 소득 공백에 따른 생활비 마련을 위해 개인연금 등 자금계획을 수정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1961년생은 2024년부터 국민연금 수령 가능

국민연금 수령액

 

출생연도가 1961년생인 분들은 만 63세가 되는 2024년부터 국민연금 지급신청이 가능합니다. 정확히는 2024년 본인 주민등록생일의 다음 달부터 수령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생일이 2024년 2월이신 분들은 2024년 3월부터 연금수령이 가능합니다. 가입기간이 10년 이상이며, 기타 연금수령 조건을 만족하시는 분들은 2024년에 국민연금 지급 신청을 꼭 챙기시기 바랍니다.

 

 

출생연도 1961년생 1962년생 1963년생 1964년생
국민
연금


개시
연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국민연금 수령액국민연금 수령액국민연금 수령액

 

 

 

 

3. 국민연금 조기수령

 

국민연금 조기수령이란?

국민연금 수령액
출처 : 국민연금공단

 

국민연금 조기수령(조기 노령연금)이란 가입 기간이 10년 이상이고, 소득이 있는 업무에 종사하지 않는 경우, 연금 지급개시연령보다 최대 5년 일찍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소득이 있는 업무에 대한 기준

: 최근 3년간의 국민연금 전체 사업가입자 및 지역가입자의 평균소득월액의 평균액

 

 

 

 

 

국민연금 조기수령 나이(만 나이 기준)
출생연도 정상수령 조기수령
1952년
이전 출생
60세 55세
1953년생
~
1956년생
61세 56세
1957년생
~
1960년생
62세 57세
1961년생
~
1964년생
63세 58세
1965년생
~
1968년생
64세 59세
1969년
이후 출생
65세 60세

 

 

 

조기수령 신청 시 주의사항

국민연금 수령액

 

 

1년 마다
감액률 6% 적용

 

 

 

국민연금 조기수령 시 최대 5년 먼저 연금을 지급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1년 조기수령 시 6%씩 감액률이 적용된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1964년생이 정상수령 연령인 만 63세가 아닌 만 58세에 연금을 조기수령 한다면, 1년에 6%씩 총 30%의 연금이 감액되어 지급률은 70%가 됩니다.

 

 

 

ex) 1964년생이 국민연금 조기수령 신청 시

 

- 만 58세(5년 조기수령) → 지급률 70%

- 만 59세(4년 조기수령) → 지급률 76%

- 만 60세(3년 조기수령) → 지급률 82%

- 만 61세(2년 조기수령) → 지급률 88%

- 만 62세(1년 조기수령) → 지급률 94%

 

 

 


 

 

 

<함께 보면 좋은 글>

 

 

국민연금 수령나이 조건 Click!!

 

국민연금 수령나이 조건(최신)

국민연금은 최소 가입기간 10년 이상을 납입하면, 출생연도에 따라 61세 ~ 65세부터 수령이 가능합니다. 특히 출생연도에 따라 연금수령 시기가 달라지는 만큼 개인별로 자신의 연금 수령 나이를

3.nomad500.com

 

 

4대보험 간편 계산기 Click!!

 

4대보험 계산기 사용방법

월급에서 바로 빠져나가는 세금으로 총 4가지의 사회보험이 있습니다. 바로 국민의 건강과 소득을 보장하는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입니다. 월급만 입력하면 간편하게 4대보험

3.nomad500.com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Click!!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계산

건강보험 지역가입자는 소득, 재산, 자동차의 모든 점수를 합산하여 보험료가 부과됩니다.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계산은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를 통해 간단하게 가능합니다. 바쁘신 분들을

3.nomad500.com

 

 

국민연금 수령액국민연금 수령액국민연금 수령액
국민연금 수령액국민연금 수령액국민연금 수령액
국민연금 수령액국민연금 수령액국민연금 수령액
국민연금 수령액국민연금 수령액국민연금 수령액

 

반응형

'4대 보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연금 수령나이(2024년 최신)  (0) 2023.12.21
산재보험 계산기(최신)  (0) 2023.12.12
실업급여 금액(2024년 최신)  (0) 2023.12.08
일용직 실업급여 신청방법  (0) 2023.12.07
실업급여 계산기(최신)  (0) 2023.12.06